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같아요”가 글을 망친다

 

어떤 시상식장에 취재하러 갔다. 시상식을 마친 뒤 영예의 수상자를 인터뷰했다. “축하드립니다. 오늘의 수상 소회를 부탁드립니다.”

 

제가 남들보다 조금 더 열심히 매진한 결과로 말미암아 오늘 이 상을 받은 것 같아요.” 초장부터 같아요가 나와서 솔직히 불쾌하고 불편했다. 인터뷰이의 같아요남발은 계속 이어졌다.

 

평소 무엇을 열심히 하셨는지요?”라는 나의 질문에 그게 그러니까... 매사 무엇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자는 게 제 신조라고 할까요. 그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아요.”

 

오늘, 어제 도착한 주말판 신문을 보는데 같아요하는 표현이 잇따라 게재되었다. 결론적으로 '같다'라는 표현은 말도 그렇지만 특히 활자화되는 것, 더욱이 책을 낸다고 한다면 반드시 피해야 한다. ? 글을 망치기 때문이다.

 

"같아요"라는 표현은 문장이나 글을 모호하게 만들 수 있어 주의해야 하는 표현 중 하나다. “~것 같습니다라는 말은 자신의 생각이나 추측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그러나 왠지 두루뭉술한 게 당최 믿음이 안 간다. 대신 “~듯 합니다는 다르다. 어떤 상황이나 사실을 근거로 하여 판단할 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으로) 예상됩니다역시 괜찮다. 이는 미래의 일을 예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으로) 추정됩니다또한 마찬가지다. 확실하지 않은 사실을 추정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표현들은 "같아요"보다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글을 더욱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해치는 표현 중 일부이다.

 

약속 시간에 차가 밀려서 시간이 걸릴 것 같아요라는 변명이 많다. 이런 경우에도 차가 밀려서 약 20분 정도 늦습니다. 미안합니다.”는 어떨까?

 

“~ 같다의 남발은 어느새 우리 사회를 점령했다는 부자연스러움의 창궐 느낌이다. “우리 선수들이 오늘 승리한 비결은 피곤한 몸임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잘해준 거 같다.”는 감독의 표현 역시 부자연스럽다.

 

오늘은 비가 와서 외출하기가 어려울 것 같다.” 또한 오늘은 비가 와서 외출을 포기했다.”로 하면 된다. 이러한 “~같다의 남발은 방송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기자가 상춘객 엄마에게 마이크를 들이대자 엄마가 말한다.

 

오늘은 날씨가 화창해서 아이들하고 여기로 놀러 왔는데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 어이가 없어서 기가 막혔다. 이어 똑똑한 아이의 반전 멘트(announcement)가 그나마 불편했던 내 심기를 다독여주었기 망정이지만.

 

이번엔 동행한 따님에게 물어보겠습니다. 오늘 여기 구경하니까 기분이 어땠어요?” 아이는 막힘없이 시원스러웠다. “놀이기구도 타고 맛난 것도 많이 먹어서 너무 좋았어요.”

 

얼마나 가뿐하고 멋진 표현인가? 물론 말과 글()에서 “~ 것 같다라는 표현을 영구적으로 쓰지 말라는 건 아니다. ‘벌집 쑤신 것 같다라는 말과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다라느니 호떡집에 불난 것 같다란 표현도 실은 다 괜찮은 표현들이다.

 

그런데 엄청 좋은 것 같다라느니, ‘기쁜 것 같다’, ‘슬픈 것 같다따위는 매우 어색하다. 이들은 ‘~는 것‘~을 것뒤에 쓰여 추측, 불확실한 단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 것 같다는 사실 습관이다. 얼마 전에도 취재를 하는데 발언자 강사의 “~ 것 같다는 표현이 무려 수십 번이나 등장하여 정말 짜증이 폭발할 지경이었다.

 

예쁜 거 같아요, 아픈 거 같아요, 화나는 거 같아요, 맛있는 거 같아요.’처럼 느낌을 나타내는 감정어 역시 같다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 거기다 부사(副詞)너무까지 곁들이면 더욱 어색하다.

 

자랑이 아니라 나는 그동안 저술한 여섯 권의 책에 “~ 것 같다는 표현은 단 한 줄도 등장하지 않는다. 잘못된 습관은 버려야 한다. 이제부터라도 “~ 것 같다는 표현은 쓰지 않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