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일만 친구

지난 주말 아들이 집에 왔다. 경기도에 사는 아들은 자타공인의 효자다. 하루가 멀다고 전화 내지 카톡이나 문자로 제 엄마는 잘 계시는지, 또한 이 아빠 역시 건강한지를 꼭 챙긴다.

 

아들은 횟집으로 우리 부부를 모셔선 생선회를 주문했다. 착석한 뒤 멍게와 함께 난생처음 먹어보는, 이른바 포항물회도 시켰다. 머리털 나고 처음 먹은 그 맛이 참 삼삼했다.

 

포항물회는 해양도시인 포항에서 과메기와 쌍벽을 이루는 최고의 먹거리로 알려져 있다. 포항물회는 그 유래를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포항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들이 음식을 먹을 사이도 없이 바빠서 큰 그릇에 막 잡아 펄떡거리는 생선과 야채를 썰어 넣고 고추장을 듬뿍 풀었다고 한다.

 

거기에 시원한 물을 부어 한 사발씩 후루룩 마시고 다시 힘을 얻어 고기를 어획하였다고 하는 데서 유래된 음식이 물회라고 한다. 이 음식이 처음에는 지역 어부들 사이에서만 유행하였단다.

 

그러다가 소문은 숨길 수 없는 까닭에 그 맛이 시원하고 감칠맛까지 있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나. 이어선 지방 특유의 음식으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음식의 명칭도 자연스럽게 포항물회로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나와 마찬가지로 처음 먹어본 아내도 포항물회에 금세 반했다. “또 와야겠네!” 아들이 따라주는 소주에 흠뻑 취하노라니 문득 포항과 어떤 동의어(同義語)이자 1979년에 발표하자마자 최백호의 히트곡으로 떠오른 <영일만 친구> 가요가 떠올랐다.

 

 

= “바닷가에서 오두막집을 짓고 사는 어릴 적 내 친구 푸른 파도 마시며 넓은 바다의 아침을 맞는다 누가 뭐래도 나의 친구는 바다가 고향이란다 갈매기 나래 위에 시를 적어 띄우는 젊은 날 뛰는 가슴 안고 수평선까지 달려 나가는 돛을 높이 올리자 거친 바다를 달려라 영일만 친구야” =

 

최백호의 그 친구는 대체 무슨 곡절이 있길래 외로운 바닷가에서 오두막집을 짓고 사는 것일까? 무더운 여름엔 몰라도 겨울엔 찾는 이도 없어 적막강산(寂寞江山)인 곳이 바닷가다.

 

그렇긴 하더라도 늘 팍팍한 콘크리트 문화권에서 사는 우리네 도시인들은 언제 가도 바다가 정겹기만 한 것도 사실이다. 오래전 대구에서 지인과 공동사업을 할 당시, 영일만을 찾았다. 거기서 지인과 콧노래로 영일만 친구를 합창했음은 물론이다.

 

조만간 다시금 피서와 휴가 시즌이 닥칠 것이다. 그러나 가난한 나는 여전히 동남아. 동네에 남아있는 아저씨, 즉 휴가와 피서가 어려운 사람이란 뜻이다. 이런 어떤 아재 개그를 지인에게 했더니 냅다 돌아온 개그가 더욱 압권이었다.

 

그럼 난 하와이네? ‘’-품은 나오는데 / ‘’-이리 덥노? / ‘’-지겨운 여름아, 어서 가그래이.” 날씨가 덥고 습하면 누구나 시르죽은(시르죽다 = 기운을 차리지 못하다. 기를 펴지 못하다.) 현실에 고민하기 마련이다.

 

영일만이든 대천해수욕장이든 냉큼 거기로 뛰어가고만 싶다. 거기로 나 데리고 가실 분 어디 없소? 술은 내가 살 테니까.

 

"바다는 우리에게 겸손함을 가르쳐 줍니다. 그것은 우리에게 세상의 광대함 속에 있는 우리의 작은 것을 상기시켜주기 때문입니다." - 출처 미상 -